기업과 상생하고 사람과 호흡하는 세종문화회관의 ESG파트너십
|
|
|
세종문화회관은 재원조성 과정에서의 재정건전성 확보와 민관협력 확대를 위해 2014년부터 문화재원팀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 광화문광장 재개장과 함께 시민 참여와 다양한 후원·협찬 확대와 ESG 실천을 위해 기업과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는 추세입니다.
|
|
|
세종문화회관의 ESG파트너십은 회관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통한 차별화된 요소를 갖고 접근하고 있습니다.
- 첫째, 기업-ESG, 홍보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베이스(DB)를 축적하여 맞춤형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를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선순환 체계의 파트너십 유치로 기업 및 홍보대행사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둘째, ‘세종문화회관’의 브랜드와 산하 예술단 7개를 연계하여, 서울의 중심인 광화문에 위치한 지리적 강점과 광화문광장 인접한 특수성을 활용해 ESG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셋째, 앞서 언급한 두 강점과 시스템을 활용해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파트너십을 통한 ESG실천과 재원조성 유치에 힘쓰고 있습니다.
|
|
|
이에 따라 최근 3년간 기업 ESG 활동과 연계한 재원조성 사례로는 한국토요타자동차, 스테들러코리아, 우알롱, 노루페인트, 수퍼빈, 현대자동차, 롤스로이스모터카, 아모레퍼시픽재단, 남양유업, 전라남도문화재단, 신한은행, 올림푸스한국, 크라운해태 등이 있습니다. |
|
|
대표적인 사례로서 한국토요타자동차는 2021년 MOU를 체결하여 4년째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누구나 꿈나무오케스트라’ 정기연습, 여름캠프, 정기연주회 등을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는 해당 사업의 사례로 서울시 민관협력 우수기관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
스테들러코리아는 2021년부터 MOU를 체결하여 4년째 여행드로잉 예술교육과 전시사업을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한국메세나대회에서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문화예술 후원 우수기관 인증’과 함께 ‘창의상’을 수상했습니다. |
|
|
MZ패션 브랜드 우알롱은 2022년부터 예술단과 누구나 꿈나무오케스트라 연습복, 방한복, 티셔츠 등 의류를 후원하고 있습니다. |
|
|
환경보호와 문화예술이 결합한 대표적인 ESG사례로 꼽히는 수퍼빈은 2023년 플라스틱 재활용 재료를 활용하여 예술 작품을 제작했으며, 회관 야외공간인 세종뜨락에 전시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
2023년 창립 50주년 맞은 아모레퍼시픽재단은 화장품 공병 업사이클링으로 크리스마스트리를 만들어 세종뜨락에 설치하고, 관객 참여형 미디어아트로 구현한 공공예술 프로젝트를 전개하기도 했습니다. |
|
|
올해 남양유업은 자사 제품 불가리스와 인기 이모티콘 ‘와다다곰’을 연계하여 ‘불가리스 세계명화전’을 개최했습니다. 5월 가정의달을 맞이해 일주일간 1만명 이상의 관객이 찾았습니다. |
|
|
더 나은 내일을 만드는 동반 상생의 사회적 책임 실천 💪 |
|
|
ESG경영은 기업에서 시작된 경영활동으로 CSR(기업의사회적책임)과 CSV(공유가치창출)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로 확대된 개념입니다. 최근에는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비영리 분야까지 실천하는 경영 개념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
|
따라서 문화재원팀은 회관 내 기업과 가장 밀접한 부서로 다양한 기업의 ESG 사례를 모니터링하고 “문화예술+ESG” 협력을 요청받고 있습니다. 이에 2021년부터 광화문 일대 기업·기관이 ESG활성화를 위해 “광화문One팀” 협의체를 결성했는데, 회관을 비롯하여 참여기관의 ESG사례를 공유하고 공동 ESG실천 사업을 펼쳐 나가고 있습니다. 회관은 단순히 재정건전성 확보뿐만 아니라 ESG경영 체계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문화예술을 통한 ESG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환경(E)’ 면에서는 친환경, 재활용에 요소를 활용한 공연·전시·축제 등의 실천하며 ‘사회(S)’로는 소외계층, 장애인, 다문화, 찾아가는 공연 등 회관은 대표적인 문화예술분야 동반 상생의 사회적 책임 실천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지배구조(G)’ 에서는 시민과 함께 만들어 가는 문화예술, 문턱을 낮추어 누구나 쉽게 문화예술을 접하고 체험할 수 있는 소통 공간과 협업 프로그램 마련해 앞으로도 기업-세종문화회관의 파트너십을 통한 다양한 ESG활동을 펼칠 것입니다. |
|
|
협력을 통해 예술의 가치를 확장하고 브랜드를 강화하는 일.
세종문화회관과 함께 시작해보세요.
📱 세종문화회관 문화재원팀: 02-399-1722 📧 E-mail: sponsorship@sejongpac.or.kr |
|
|
세종문화회관 메세나 레터를 주변에 알리고 싶나요?
|
|
|
세종문화회관 문화재원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